본문 바로가기

회사업무/인사총무3

퇴직급여제도 근로자가 퇴직할때 발생되는 퇴직급여와 퇴직금 관련하여 알아보겠다. 출처 : 고용노동부 퇴직급여제도 사용자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위하여 퇴직급여제도 중 하나 이상의 제도를 설정하여야 한다. 다만, 계속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퇴직급여 구분 정의 퇴직금제도 근로자 퇴직 시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퇴직급여 지급 퇴직연금제도 사용자는 퇴직급여 재원을 퇴직연금사용자(금융기관)에 적립, 근로자는 퇴직 시 금융기관에서 퇴직급여 수령 퇴직금제도 근로자 퇴직 시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하는 제도 계속근로 기간이란? 계속근로기긴이란 게속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 .. 2022. 12. 27.
임금명세서 작성방법 및 교부 방법, 위반시 과태료 근로기준법 제116조 제2항에 따라 임금명세서 교부 으무 위반 사용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임금명세서 교부방법과 임금명세서 작성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다. 정해진 임금명세서 서식이 있나요? 법정 서식은 없다. 법령에서 정한 기재사항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 사업장에서 자율적으로 서식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임금명세서는 어떤 방법으로 작성해야하나요? 수기로 작성할 수 있고, PC, 스마트폰 등에서 한글, 오피스, 웹 에디터, PDF 같은 프로그램이나 사내 전산망을 활용하여 작성 할 수 있다. 사내전산망에서 임금명세서를 확인하는 것도 교부로 인정 가능한지? 근로자가 개별 아이디로 사내 전산망에 로그인하여 임금명세서를 자유롭게 열람하고 출력할 수 있으면 교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22. 12. 21.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 및 표준 근로계약서 양식, 위반시 과태료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를 보호하고 반드시 필요한 근로계약서에 대해 알아볼게요. 대기업은 아니지만 작은 중소기업을 다니면 근로계약과 관련된 이슈 사항들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요. 구두상으로 근로계약 관련해서 이야기하거나 모호한 표현을 사용했을 시 나중에 곤란한 입장이 될 수도 있어서, 반드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불편하지 않는 회사생활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근로계약서 의미 근로자는 고용인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근로를 제공하고, 고용인은 이에 대한 대가로 입금을 지급하기로 했다는 사실을 명시한 계약서를 말한다. 단 하루를 일하더라도 1인 사업장이라도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한다. 근로기준법 제17조 근로계약의 체결 및 변경 시에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근로조건을 명시하고, 반드시 서면으로 작.. 2022.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