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마련저축 납입액 소득공제
-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일용근로자 제외)로서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이고, 과세연도중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한 세대의 세대주가 본인 명의로 해당 연도에 "주택마련저축"에 납입한 금액의 100분의 40에 상당하는 금액을 해당 연도의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 합니다. 다만, 과세연도 중에 주택 당첨 및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가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는 것 외의 사유로 중도해지한 경우에는 과세연도에 납입한 금액은 공제하지 아니합니다.
세대주 여부는 과세연도 종료일(12월31일) 현재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2014년 이전 가입자 중 총 급여 7천만원 초과자는 기존한도(연 납입액 120만원)로 2017년 납입분까지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1. 주택마련저축의 종류
- "주택법"에 따른 청약저축 을 말한다. (연 납입액 240만원 이하의 금액)
- "주택법"에 따른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말한다. (연 납입액 240만원 이하의 금액)
- (폐지된) "근로자의 주거안정과 목돈마련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근로자주택마련저축을 말한다.
월 납입액15만원 이하를 말한다.
- 장기주택마련저축은 2014년부터 소득공제 대상 주택마련저축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1) 청약저축
-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로 과세연도 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주가 해당 과제 연도 중 청약저축에 납입한 금액이 소득공제 대상이며, 2009년 12월 31일 이전 가입한 쳥약 저축의 경우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으로서 청약저축 가입당시 기준시가가 3억원 이하인 주택을 한 채만 소유한 세대의 세대주도 포함하며, 가입 후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취득 당시 주택의 기준시가가 3억원 이하인 경우에 한합니다.
※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별주택가격이 없는 경우에는 주택마련저축 가입일 이후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초로 공시된 가겨을 말합니다.
2) 주택청약종합저축
-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자가 무주택 확인서를 다음연도 2월말까지 저축취급기관에 제출한 경우 주택청약종합저축에 납입한 금액에 대하여 공제 합니다.
(세대주가 아니 경우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2. 소득공제 신청 시 제출서류
- 소득공제를 받으려는 자는 근로소득자 소득·세액공제신고서를 제출할 때 주택마련저축 납입증명서를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제출해야 합니다.
- 주택마련저축납입증명서는 연도말 현재의 납입액이 표시되어 있는 주택마련저축통장 사본 또는 "소득세법 시행령" 제216의 3에 따라 주택마련저축납입내역을 일괄적으로 적어 국세청장이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 발급하는 서류로 갈음합니다.
3. 소득공제 금융상품 중도해지시 추징세액
- 소득공제되는 금융상품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는 사람이 저축가입 후 추징기간내에 해지등을 하는 경우 해지가산세를
부과합니다.
'회사업무 >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등 사용액 소득공제 (0) | 2023.01.31 |
---|---|
벤처투자조합 출자 등 소득공제 (0) | 2023.01.28 |
그 밖의 소득공제 - 개인연금저축 소득공제 (0) | 2023.01.21 |
특별소득공제 - 보험료 공제 (0) | 2023.01.18 |
연금보험료공제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