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업장 법정 의무교육

by self explorer 2023. 1. 3.

 

법정의무교육

       -  관련 법에 따라 기업에서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교육을 말합니다.

           교육을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교육에 따라 최대 6억원 이하 과징금 등 제도별 과태료 상이

 

출처 : 고용노동부

기업 의무 교육 법령 교육대상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안전보건법31
사무직:분기당3시간
생산직:분기당6시간
(교육미필시:인당13만원,
(2차5만원, 3차10만원 과태료 부과)
전직원
(5인이상 사업장)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남녀고용평등법제13조 연1회이상
(교육 미필 시 : 5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전직원
개인정보 보호교육 개인정보보호법제28
(교육미필시:과태료부과없음.
(개인정보유출시 5억 미만 과징금 부과)
전직원
(연1~2회 권고)
장애인 인신개선 교육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
5조의2(직장내장애인인식개선교육)
동법제86
(교육 미필 시 : 3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전직원
(연1회 , 1시간 이상)
직장 내 괴롭힘 방지 예방교육 근로기준법 제413
1회 이상(2019.2.22. 발표.)

(500만원 이하 과태료부과)
산업안전보건법 262
(2018,10,18시행령)교육
전직원
퇴직연금 교육 퇴직연금제도 가입자
(천만원이하 과태료부과)
전직원
(연1회 이상)
감정노동자보호법 산업안전보건법 262
(2018,10,18시행령)교육
전직원
  • 장애인인식개선교육 : 50인 미만 사업장은 간이교육자료 게시.배포등으로 가능함.
  • 직장내 성희롱 예방교육 : 상시근로자 10인미만 사업 어느 한성별로만 구성된 사업은 교육자료, 홍보물 게시, 배포하는 방법으로 가능

                              

해당 교육들은 매 분기 또는 연1회이상 반드시 실시해야 합니다.

 

 

  • 법령 확인 : 법제처 국가법령사이트

http://www.law.go.kr